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
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803)
2022년 10월 12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10/11(현지시간)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혼조 마감… 다우 +36.31(+0.12%) 29,239.19 나스닥 -115.91(-1.10%) 10,426.19 S&P500 3,588.84(-0.65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218.49(-2.50%) * 국제유가($,배럴), 경기 침체 우려 등에 하락... WTI -1.78(-1.95%) 89.35, 브렌트유 -1.90(-1.98%) 94.29 * 국제금($,온스), 달러화 숨고르기 국면 속 상승... Gold +10.80(+0.64%) 1,686.00 * 달러 index, 매파적인 연준 재확인 등에 강세... +0.15(+0.13%) 113.29 * 역외환율(원/달러), -5.35(-0.37%) 1,431.82 * 유럽증시, 영국(-1...
2022년 10월 11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저번주 금요일에 폭락이 나왔다. 그 이후 어제도 하락을 하면서 저점 지지선을 깨버리는 모습이 나왔다. - 저점이후 첫 상승에서는 따라가면 안된다고 했는데 예상대로 첫 상승이 하락으로 전환되어 전저점을 깨는 모습이 나오게 되었다. - 저번주 금요일에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아마겟돈 발언을 하였다. 러시아가 핵을 쓰는 순간 아마겟돈이 일어날 것이다. 라고 하여 증시에 공포 심리가 팽배해졌다. - 현재 증시에는 호재거리가 하나도 없다. 호재를 기다리기엔 세계 상황이 너무 어지럽다. - 그렇다면 증시 상승이 기댈 수 있는 부분은 가격적인 메리트 밖에 없다. 지금 가격이 너무 싸다는거, 고점 대비 많이 빠졌으니 이제는 들어가도 되지 않을까 하는 심리적 고민들이다. - 아직 전쟁이 끝날 기미가 보이지 ..
2022년 10월 11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10/10(현지시간) Fed 긴축 우려 지속 등에 하락… 다우 -93.91(-0.32%) 29,202.88 나스닥 -110.31(-1.04%) 10,542.10 S&P500 3,612.39(-0.75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275.34(-3.45%) * 국제유가($,배럴), 차익실현 및 수요 둔화 우려 등에 하락... WTI -1.51(-1.63%) 91.13, 브렌트유 -1.73(-1.77%) 96.19 * 국제금($,온스), 달러화 강세 속 약세... Gold -34.10(-1.99%) 1,675.20 * 달러 index, Fed 긴축 우려 지속 등에 강세... +0.38(+0.33%) 113.17 * 역외환율(원/달러), +3.46(+0.24%) 1,429.09 * 유럽증시, 영국(-..
2022년 10월 07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미국 지수는 하락하였다. - 최근에 상승하였기 때문에 크게 의미 없는 하락이었다. -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 자리를 지켜주느냐 아니냐가 문제이다. - 최근 저점을 만들고 첫 반등이 일어난 후 처음 생성된 음봉이기 때문에 이 음봉 이후 저점을 올리는 상승이 나올지, 전 저점을 깨는 하락이 나올지 지켜봐야 한다. - 만약 전 저점을 올리는 모습이 나온다면 슬슬 분할 매수를 진행할 준비를 해야 한다. - 물론 아직까지는 확실하지 않은 구간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. 한국시황) - 어제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이 발생하였다. - 지금 기술적지표가 잘 먹히지 않는 상황이다. 지금 시장의 상황이 지지선을 지킬 수 없을 정도로 악재가 팽배한 상황이고, 지지되어야 하는 구간을 여지없이 깨버리는 상황이 반복되고..
2022년 10월 07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10/6(현지시간) 고용보고서 경계감 속 매파 연준 우려 등에 하락 … 다우 -346.93(-1.15%) 29,926.94 나스닥 -75.33(-0.68%) 11,073.31 S&P500 3,744.52(-1.02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508.84(-0.59%) * 국제유가($,배럴), OPEC+ 대규모 감산 여파 지속 등에 상승... WTI +0.69(+0.79%) 88.45, 브렌트유 +1.05(+1.12%) 94.42 * 국제금($,온스), 美 고용지표 경계감 속 보합... Gold 0.00(0.00%) 1,720.80 * 달러 index, 매파적인 연준 우려 등에 상승... +1.19(+1.07%) 112.27 * 역외환율(원/달러), +4.82(+0.34%) 1,408.05 * ..
2022년 10월 06일 주식매매분석 해외의견) - 미국 지수는 고점에서 잘 버텨주고 있다. 하지만 이것을 상승의 시작이라고 하기는 어렵다. 국내의견) - 차트들이 다 죽어버렸다. - 어제 미국 시장이 상승에 따라 우리나라 지수도 상승 출발하였으나 장 마감으로 갈 수록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하락 반전하게 되었다. - 바닥에서 나오는 첫 상승은 들어가는게 아니다. 첫 상승 후 하락 반전 하고 나서 저점을 높이는 상승이 보일 때 진입하는 것이다. - 지금은 포지션을 잡지 말고 기다려라. - 지금은 국내시장을 이끌만한 호재가 없다. 환율이 1417이다. 조금 떨어졌지만 아직 높은 구간이다. - 우리나라 지수가 이 자리에서 횡보하면서 가격을 지켜주기만해도 고마울 것 같다. 걱정되는 부분은 전 저점을 깨버리면서 아래로 크게 떨어져 버릴까봐 걱정이다..
2022년 10월 06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10/5(현지시간) 국채금리 반등 속 3거래일만에 하락… 다우 -42.45(-0.14%) 30,273.87 나스닥 -27.77(-0.25%) 11,148.64 S&P500 3,783.28(-0.20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523.61(+0.94%) * 국제유가($,배럴), OPEC+ 대규모 감산에 상승... WTI +1.24(+1.43%) 87.76, 브렌트유 +1.57(+1.71%) 93.37 * 국제금($,온스), 최근 급등에 따른 고점 인식 속 하락... Gold -9.70(-0.56%) 1,720.80 * 달러 index, 안전자산 선호 심리 등에 강세... +1.15(+1.04%) 111.21 * 역외환율(원/달러), -4.27(-0.30%) 1,416.51 * 유럽증시, 영국(-..
2022년 10월 05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전일 미증시는 상승 마감하였다. - 연준은 연말까지 125bp를 올릴 예정이다. 하지만 연준의원들 중 금리인상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서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이 진행될 가능성이 보여지고 있다. - 더군다가 호주에서는 50bp 인상을 예상하였으나 예상과는 다르게 25bp만을 인상하여 금리인상의 속도조절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. - 연준의 금리인상에 대한 속도 조절과 실질적으로 호주에서의 소폭 금리인상에 따라 사람들은 이제 바닥의 신호가 나온 것이 아니냐는 생각에 매수에 가담하고 있다. - 하지만 지금 이 상승은 기술적반등이고, 각 이슈는 기술적반등을 위한 일시적인 호재이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으니 지금 진입하지 않도록 해라. 한국시황) - 오늘도 미국 영향으로 갭상승으..
2022년 10월 05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10/4(현지시간) Fed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 등에 급등… 다우 +825.43(+2.80%) 30,316.32 나스닥 +360.97(+3.34%) 11,176.41 S&P500 3,790.93(+3.06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500.11(+4.46%) * 국제유가($,배럴), OPEC+ 회의 앞두고 급등... WTI +2.89(+3.46%) 86.52, 브렌트유 +2.94(+3.31%) 91.80 * 국제금($,온스), 달러화 약세 속 상승... Gold +28.50(+1.67%) 1,730.50 * 달러 index, 위험자산 선호 심리 등에 약세... -1.57(-1.40%) 110.18 * 역외환율(원/달러), -16.51(-1.15%) 1,416.85 * 유럽증시, 영국(+2.5..
2022년 10월 04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미증시가 상승으로 마감해 주었다. - VIX 가 4.82% 하락이 발생하였다. 하지만 추세가 꺽였다고 보여지지는 않는 모습이다. - 이번 상승은 그 동안 하락에 대한 기술적 반등으로 보여지는 구간이다. - 차트 외에 추가 상승 이슈를 살펴보자면 영국의 감세 정책 철회가 있을 것 같다. - 영국은 감세정책 발표로 인해 파운드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었다. - 전 세계가 코로나19 때 풀렸던 자금을 거둬드리는 긴축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이 시점에 영국이 반대로 돈을 푸는 정책을 하겠다고 선언하니 영국의 파운드 가격이 떨어질 것을 염려한 세계 자금들이 영국에서 발을 뺌으로서 파운드의 가격이 순식간에 떨어져버렸다. 영국발 불확실성이 고조된 시장은 하락으로 마감되었다. - 하지만 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