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 post image
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803)
2022년 09월 26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9/23(현지시간) 각국 긴축 정책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등에 하락… 다우 -486.27(-1.62%) 29,590.41 나스닥 -198.88(-1.80%) 10,867.93 S&P500 3,693.23(-1.72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408.89(-1.45%) * 국제유가($,배럴),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에 급락… WTI -4.75(-5.69%) 78.74, 브렌트유 -4.31(-4.76%) 86.15 * 국제금($,온스), 강달러 등에 급락... Gold -25.50(-1.52%) 1,655.60 * 달러 index, 연준 인사 연설 주목 속 약세... -0.17(-0.15%) 113.02 * 역외환율(원/달러), +13.56(+0.95%) 1,422.99 * 유럽증시, 영국..
2022년 09월 23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시장에 대한 호재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여전히 금리인상이라는 이슈와 러-우 전쟁에 대한 이슈 때문에 경제는 하방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다. - 전세계 모든 나라들이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있다. 세계경제를 주도 하고 있는 미국이 금리인상은 단행하니 전세계의 모든 나라들이 같은 방향으로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수 없다. 금리를 인상하지 않으면 자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자금이 미국으로 흡수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. - 만약 미국의 6월경 저점 부근까지 가격이 떨어진다면 지지반등을 노리는 세력들이 진입하겠지만 이 저점 마저도 깨트려 버린다면 시장은 바닥이 어딘지 모를 큰 폭락이 나올 수 있다. 한국시황) - 우리나라의 환율이 기어코 1400원대를 돌파했고 어디까지 올라갈지 모르는 상황이..
2022년 09월 23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9/22(현지시간) 글로벌 중앙은행 긴축 기조 등에 하락… 다우 -107.10(-0.35%) 30,076.68 나스닥 -153.38(-1.37%) 11,066.81 S&P500 3,757.99(-0.84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444.25(-2.81%) * 국제유가($,배럴), 원유공급 우려 등에 상승… WTI +0.55(+0.66%) 83.49, 브렌트유 +0.63(+0.70%) 90.46 * 국제금($,온스), 지정학적 우려 등에 상승... Gold +5.40(+0.32%) 1,681.10 * 달러 index, 글로벌 중앙은행 긴축 기조 등에 강세... +0.63(+0.57%) 111.27 * 역외환율(원/달러), -4.44(-0.32%) 1,404.64 * 유럽증시, 영국(-1.08%..
2022년 09월 22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FOMC회의에서 75bp 상승을 진행했다. 이 부분은 이미 선반영 된 부분이라 시장에 충격을 줄 수는 없었다. - 원래는 10월~11월에 금리인상 폭을 줄여 나갈 것이라는 판단에 시장이 반등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파월의 발언에서 금리인상 폭은 줄지 않고 더 커졌으며 금리하락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뉘앙스가 나와서 미국 시장을 충격을 받게 되었다. - 파월은 연말까지 125bp 더 올리겠다고 선언하였고, 연말까지 FOMC회의는 2회 남았으니 75bp, 50bp 상승이 될 것으로 예견되었다. 이 것은 올해까지는 금리인하는 없다는 의미로 바다을 다질기는 어려운 이슈였다. - 파월이 말하기를 고통없는 인플레이션은 없다 라고 하였다. 미국의 인플레이션의 안정화 목표치는 2% 이고 현재..
2022년 09월 22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9/21(현지시간) Fed 자이언트 스텝 속 고강도 긴축 지속 우려 등에 하락… 다우 -522.45(-1.70%) 30,183.78 나스닥 -204.86(-1.79%) 11,220.19 S&P500 3,789.93(-1.71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514.96(-0.97%) * 국제유가($,배럴), 달러 강세·재고 증가 등에 하락... WTI -1.00(-1.19%) 82.94, 브렌트유 -0.79(-0.87%) 89.83 * 국제금($,온스), 러시아 군 동원령 발표에 따른 지정 학적 우려 등에 상승... Gold +4.60(+0.28%) 1,675.70 * 달러 index, 매파 연준에 강세... +1.14(+1.04%) 111.36 * 역외환율(원/달러), +3.12(+0.22%) 1..
2022년 09월 21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양시장 모두 하락으로 마감하였다. - FOMC회의가 내일새벽에 진행될 예정이다. 이 회의가 끝나고 시장의 방향을 주시하여야 한다. - 보통 시장의 악재가 확정되면 불확실성 해소로 상승이 나온다. 주식시장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불확실성이기 때문이다. - 하지만 이번 회의가 끝나고 나면 시장의 저점을 다시 깨기 위해 내려 갈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있어서 진입을 보류 하고 있다. 한국시황) - 월봉상으로 700 선은 지켜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. 하지만 이 가격은 월봉상 종가 가격을 말함이고 코로나 팬데믹 때 긴 아래 꼬리를 만들면서 올리던 모습처럼 움직일 것 같다. - 월 중에 저점을 깨는 모습의 시장이 보인다면 버티기기 쉽지 않기 때문에 지금 진입을 하지 않고 있다. 09:02 매수가 22..
2022년 09월 21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9/20(현지시간) FOMC 긴축 우려 지속 속 美 국채금리 급등에 하락… 다우 -313.45(-1.01%) 30,706.23 나스닥 -109.97(-0.95%) 11,425.05 S&P500 3,855.93(-1.13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539.50(-1.49%) * 국제유가($,배럴), 강달러 등에 하락... WTI -1.28(-1.49%) 84.45, 브렌트유 -1.38(-1.50%) 90.62 * 국제금($,온 스), 연준 금리 인상 앞두고 하락... Gold -7.10(-0.42%) 1,671.10 * 달러 index, FOMC 발표 앞두고 강세... +0.45(+0.41%) 110.19 * 역외환율(원/달러), +4.56(+0.33%) 1,392.91 * 유럽증시, 영국(-0..
2022년 09월 20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현재 시장의 포커스는 연준이 어느정도의 금리인상을 진행할 것인가에 맞추어져 있다. - 지금 시장의 참여자들은 FOMC회의로 인한 방향성을 주시하면서 움직이지 않고 있다. - 실제로 100bp 금리인상을 진행하더라도, 올릴만큼 올렸다고 매수를 할 지, 이제 장기인상의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매도를 할 지 아무도 모른다? 결국 금리인상이라는 이벤트가 중요한 것이지 금리인상의 크기에 따라 배팅할 수가 없다. 금리인상 후에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여주는지가 관건이다. - 지금은 상승과 하락이 공존하는 타이밍이며, 섣불리 지수를 예측하고 먼저 움직이는 구간이 아니다. - 지금까지 연준은 연속으로 금리를 올려왔기 때문에 10,11,12월에는 어느정도 속도 조절을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. - 10월 이후 FO..
2022년 09월 20일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* 뉴욕증시, 9/19(현지시간) FOMC 경계감 속 반발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… 다우 +197.26(+0.64%) 31,019.68 나스닥 +86.62(+0.76%) 11,535.02 S&P500 3,899.89(+0.69%) 필라델피아반도체 2,577.94(+0.58%) * 국제유가($,배럴), FOMC 관망세 속 中 봉쇄 해제에 따른 수요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... WTI +0.62(+0.73%) 85.73, 브렌트유 0.65(+0.71%) 92.00 * 국제금($,온스), 긴축 우려 등에 하락... Gold -5.30(-0.31%) 1,678.20 * 달러 index, FOMC 앞두고 약보합... -0.16(-0.15%) 109.60 * 역외환율(원/달러), -1.53(-0.11%) 1,390...
2022년 09월 19일 주식매매분석 미국시황) - 미국 증시가 하락으로 종료되었다. 금주 21일 FOMC회의에서 1.00 BP (울트라스탭) 에 대한 말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시장은 지속적인 하강 압력을 받을 수 밖에 없다. - 이런 상황에 시장의 반등을 보고 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을 한다. 아직은 시장을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. - 미국의 상황과 우리의 상황은 다르다. 미국이 빠지면 우리나라는 더 빠진다. 설령 미국이 오를 지라도 우리나라가 빠지는 경우도 많다. 이유는 원달러 환율 때문이다. - 아시아의 환율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반등이 나오지 않을까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중이다. 현재 우리나라도 외환시장의 개입이 시작되었다. - 하지만 이 모든 부분이 무조건 상승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..